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13.58.242.21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예시
(r5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방송계 ==== * 남자 연예인들의 병역 관련 - 유승준 병역기피 사건, MC몽 병역비리 사건 * 국방홍보원 홍보지원대 -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특혜를 누리던 일부 연예인들 때문에 꾸준히 비난을 받다가 결국 완전히 폐지됐다. * 1박 2일: 정준영 - 사실 비단 정준영 외에도 법적 문제를 일으킨 멤버들이 좀 더 있긴 하나, 그들은 그나마 단순 하차로 끝난 반면 이 자는 인기 프로그램 자체를 아예 날려먹을 뻔한 상태로 만들었다.[* 정준영 사태가 까발려지고 얼마 안 가 1박 2일 내기골프 의혹 사건도 벌어졌지만, 정준영 등 불법촬영물 제작 및 유포 사건|명백한 범죄인 정준영 건과 달리 차태현과 김준호(코미디언)|김준호의 사건은 오히려 안타깝다는 동정론이 대세였으며, 그 뒤 무혐의로 내사 종결이 났다. 정준영 건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다음 시즌의 정멤버 중 하나였던 김선호에게도 김선호 사생활 폭로 논란|간접적으로 피해를 안겼다.] * 대한민국의 인디 음악, 생방송 음악캠프: 카우치(밴드)|카우치 - 크라잉넛을 필두로 지상파에 나올 정도로 영향력이 커지려던 찰나 이들이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엽기적인 방송사고를 터뜨리며 한국 인디 음악계를 팀킬했다. 그 결과 한국 인디 음악은 큰 타격을 입어 10CM, 국카스텐, 장기하와 얼굴들 등이 등장할 때까지 긴 침체기를 거쳐야 했다. 또한 생방송 음악캠프도 이 사건 하나 때문에 사실상 강제종영되었고, 당해 가을 쇼! 음악중심으로 재탄생할 때까지 잠시 공백기가 있었다. * 중소 기획사 출신 한국 아이돌 & 중소 기획사들의 외주 프로듀싱: FIFTY FIFTY 전속 계약 분쟁 * 재한 일본인 K-POP 아이돌 : XG(아이돌)|XG - K-POP 그룹의 일본인 멤버들은 둘기(신조어)|갑작스런 배신을 하지는 않는다는 것 때문에 이미지가 좋은 편이지만, 이 그룹의 등장으로 다른 일본인 한국 아이돌들까지 의심을 사기도 한다.[* 다만 멤버들의 의사라기보다는 프로듀서 재이콥스와 모회사 에이벡스의 노이즈 마케팅성 언론플레이에 더 가깝다는 의견도 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연예인 팬덤 - 악성 개인팬(그룹 한정), 사생팬, 한국 아이돌 팬덤 혈서 사건 : 특히 사생팬의 행각들은 엄연한 범죄인 경우가 많다. * 신동진#s-3 : 당시 미성년자였음에도 아버지가 마련한, 팬들과의 술자리에 동석하거나 다른 출연진들의 사적인 자료를 멋대로 퍼뜨리기도 해서 아예 연예계에서 퇴출당했다.[* 이 인물이 출연했던 세븐틴TV 같은 연습생 공개 프로그램의 장점으로 이 사례가 꼽히기도 한다. 내가 좋아할 아이돌 그룹이 데뷔한 후에 문제가 터져 곤란해지느니, 데뷔 전에 문제 있는 인물을 미리미리 걸러낼 수 있다는 것.] 당연하지만 해당 아이돌 그룹의 팬덤에서는 그야말로 금지어 취급이다. * K-POP: 코리아부, 외퀴 * AKB48/총선거 - NGT48 부정 투표 논란: 이후 야마구치 마호 자택 습격 사건이 일어나며 이 논란이 다시 불거졌고 결국 총선거는 사실상 폐지됐으며, 나아가 다른 지점들의 활동에도 큰 악영향을 끼쳤다.[* 이 사건의 파장이 더 컸던 이유는 NGT48의 일부 멤버들이 총선거 득표수 증가를 위해 팬들과 사적인 교제를 했다는 의혹이 일어서였다. 야마구치 마호가 자신에게 온 개인 스폰서 제안을 거절한 일화를 얘기하며 그 때 차라리 받아들일걸 그랬나 싶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AKB48은 총선거가 폐지되기 전에는 총선거 상위 10여 위에 들어야만 싱글 활동에 선발돼 활동할 수 있었던 구조였고, 운영이 이걸 단속하긴커녕 오히려 권장한 거 아니냐는 얘기까지 있을 정도였다.] * AKB48/전 멤버 일람#s-3.8|AKB48 8기생 - 스기야마 미쿠, 니시카와 나나미: 8기생의 전원 정규 멤버 승격 실패는 니시카와의 프리쿠라 유출보다도 스기야마가 비밀 블로그에서 팬들과 대선배 타카하시 미나미를 뒷담한 것이 컸다. * NMB48 - 스토 리리카 총선거 결혼발표 사건: 다음 총선거에서 NMB48 멤버들의 순위가 급락했다. * 노기자카46 * 마츠무라 사유리 - 2014년 유력시되던 NHK 홍백가합전 출전이 좌절된 이유로 이 해 10월 터진 그녀의 유부남과의 스캔들이 꼽힌다. * 나카니시 아루노 - 5기생으로 공개된 직후 터진 과거의 SNS 논란에 무려 센터였던 Actually… 활동이 매우 부진했다.[* 센터였음에도 활동을 거의 하지 못해 다른 멤버들이 대신 무대를 꾸몄지만 이 노래는 이후 거의 불리지 않는다. 본인 역시 동기들 중 유일하게 칸무리 방송에서의 자기소개도 정식으로 못했다.] * 미국 연예계의 미투 운동 - 케샤 * SHOW ME THE MONEY 5|쇼미더머니 5의 씨잼과 길(가수)|길 - 쇼미더머니 5는 역대 쇼미더머니 시리즈 중에 가장 흥행에 성공한 최고의 시즌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시즌에서 '''2016년 여름 음원 차트를 싹쓸이'''[* 나온 곡들만 해도 쿵, 신사, 공중도덕, 니가 알던 내가 아냐, Forever, 호랑나비, Day Day, Like This, 미친놈, 공중도덕 Pt.2, 맘 편히, 자화상 Pt.2, 비행소년 등 수많은 명곡들이 탄생했다. 거의 10곡 중 9곡은 성공했다 보면 될 정도.] 하면서 힙합 대중화를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 다음 시즌들인 SHOW ME THE MONEY 6와 SHOW ME THE MONEY 777, SHOW ME THE MONEY 8이 점점 시즌이 지나갈수록 비례해서 화제성이나 음원성적이 점차 떨어지면서 쇼미의 전성기이자 리즈 시절이었던 이 시즌이 더욱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지상파 채널 재방송 불가 및 티빙 VOD, OTT 채널에서 다시보기 서비스가 불가한 시즌이 되었는데, 이유는 바로 준우승자인 씨잼이 마약을 투여한 논란을 일으킨 데다가 시즌 5 프로듀서로 참가했던 길이 음주운전 논란을 일으켰기 때문이었다. 물론 통편집을 하면은 좋겠지만, 문제는 이 둘의 비중이 시즌 5 절반의 지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통편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에 아이러니 한 것은 논란은 많았어도 흥행에 성공했던 시즌 3과 시즌 5, 777은 다시보기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지상파 채널 재방송, VOD, OTT 채널에서 다시보기가 가능한 나머지 시즌들(시즌 6, 8, 10, 11)은 하나같이 흥행이고 뭐고 전부 다 폭망했던 시리즈다. 결국 이 점 때문에 쇼미더머니 다시보기를 시청하지 않는 시청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결국 쇼미더머니 11을 끝으로 더 이상 제작 소식이 들려오지 않고 있다. 단, 예외가 있다면 다시보기 서비스가 가능한 시리즈 중에 시즌 4, 시즌 9가 그나마 유일한 흥행했던 시리즈라는 점이다. 그래서 쇼미더머니 시청자들은 다른 시리즈들은 다 제쳐두고 시즌 4와 시즌 9만을 시청하고 있다는 소문이 들릴 정도다.] * 케야키자카46 - 시다 마나카: 졸업 이전부터 크고 작은 사고를 치고 다니다가 결국 캬바쿠라 술집 종업원이 됐다는 소식을 전해와 팬덤에서도 이미지가 안 좋다. * 대한민국의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 이 폭로 직후 코로나19 사태까지 터져 한동안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자체가 없을 정도였다. * 불타는 트롯맨 - 황영웅: 이 쪽은 '''당사자가 과거 논란을 인정했음에도''' 제작진 측에서 아무렇지 않은 척 밀어주는 행보를 취했기 때문에 유례 없는 콘서트 취소표가 속출하기까지 해 결국 결승을 앞두고 하차해야 했으며, 제작진까지 수사를 받아야 했다. * 한 방송의 출연진이 중대한 사건 사고를 일으키거나 현재가 아니라도 과거에 그랬던 사건 사고가 폭로되는 경우도 해당된다. 특히 영화나 드라마 등의 주연급 출연자에게 그런 일이 터질 경우 남은 회차를 처음부터 다시 새로 다 찍어야 해서 방영 자체가 아예 미뤄지거나 무산되기도 하며, 설령 무사히 나오더라도 큰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요즘에는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이런 일이 생기면 문제의 출연진이 손해배상을 하기로 하는 계약서를 따로 쓴다고도 한다. 이 문서의 예시들 중에도 이 사례와 겹치는 사례가 있다. * 더 타임 호텔 - 주언규: 노아AI 표절 사건의 여파로 예능 방영 자체가 미뤄졌다. 방영이 된 후에도 개인 소개 및 설명 영상이 유일하게 없다. * 방송 제작진 - 촬영 스태프 갑질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138322|이 글(일부 욕설주의)]]에 따르면 자주 찾아야 하는 장소가 아니라면 사전 허가를 받지 않고 촬영하는 경우도 많아 행인들 혹은 시설 이용객들과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심지어 히어로는 아닙니다만#s-8.1|생명이 위급한 사람들에게 갑질한 경우도 있다. 그 결과 방송 자체가 욕먹고 사과한다. * 저소득층 환우 및 장애인 가정 후원 유도 방송 : 어금니 아빠 살인사건 * 스타 가족 출연 방송 - 일부 스타 가족이 스타와 함께 방송에 출연했다가, 작게는 그 스타 가족의 만행이나 크게는 그 스타의 집안 자체가 콩가루 집안인 것이 폭로되어 그 방송들이 이미지 세탁을 시켜줬다며 비난 받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박수홍 횡령 피해 의혹 논란 관련해 비난 받은 미운 우리 새끼.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3.58.242.216)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13.58.242.21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